그래피티 배양 / Graffiti Culture

01. 지하층 작업실 벽위 그래피티 / graffiti on the wall in the underground studio, 2009
-> 플래툰 쿤스트할레 쇼케이스 / platoon kunsthalle showcase, 2010
02. 굴다리안 벽위 그래피티 / graffiti on the wall in the tunnel, 2009
-> 잡지안 캔버스위 그래피티 / graffiti on the canvas in the zine, 2014
03. 철거현장 나무판위 스텐실 / stencil on the wood at the demolished area, 2009
-> 숲속 사진모델 / photographic model in the woods, 2009
04. 굴다리안 벽위 그래피티 / graffiti on the wall in the tunnel, 2009
-> 영화속 주요소품 / main prop in the film, 2012

과거 몰두하였던 그래피티 작업은 시간과 나의 주위환경이 변함에 따라 그 성격과 매체 또한 다양하게 바뀌어왔다. 영화(28 Seasons Later)의 소재가 되기도 하고, 설치작품(Facade)의 일부분으로 전시되기도 하였으며, 사진(Reconstruction)안 모델이 되기도 하였다. 이처럼, 지금까지 진행해온 많은 작품들은 그래피티를 근원으로 하거나 이야기의 주제가 되어왔다. 이것은 내가 몸 담아온 그 서브컬쳐에 대한 경외심이자, 계속적으로 새로운 것을 갈망하는 입장에서의 대안이다. 이 대안은 ‘경험 축적으로부터의 새로움’ 이라는 창발성에서 기인한다. ‘배양’ 의 사전적 의미처럼, 가장 기본이 되는 단위의 성질을 성장시켰을 때, 근본의 고찰을 토대로 예기치 못한 변형의 발견을 기대하고 있다.

Graffiti works that I used to do for a long time have changed in ways and means as the time and the environment are getting alter. According to circumstances, It was used as a material on my film (28 Seasons Later), shown as the part of the installation artwork (Facade) and become a model in a photograph (Reconstruction). In this way, the ongoing artworks have been rooted in graffiti and told themselves. This is a sense of awe about the subculture and the alternative from my position as an illuminati. This alternative is caused from a sense of emergent which is ‘Newness from Accumulation of Emergance’. As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Culture’, When the material of the unit is grown, I am looking forward to unexpected transformation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the origin.

0101

0202

0303

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