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 MY NAME

spray paint & paint & tape on the wall, 3.5×1.7m, 2012

스트리트 아트는 그래피티를 뿌리로 두면서도, 그것들의 행위와 전통성과는 구별되는 문화를 만들었다. SUP(서울 어반아트 프로젝트) 에서의 작업들은 두 문화의 간극에서 나타나는 상대적 배반 행위로서 그래피티를 거쳐 스트리트 아트를 행하고 있는 나 자신에게 두통을 가져왔다. 어느 문화와 정치, 사회를 막론하고 보수와 진보가 서로 상생하는 것이 어려운 것처럼, 이 둘 또한 다른 이념으로 불이해관계에 있는지도 모른다. 나는 2012년 현재 스트리트 아트를 하며 작품결과의 가치를 추구하면서도, 그래피티의 행위에도 그들의 흔한 말처럼 ‘Respect’ 하고 있다.
‘SHOW MY NAME’ 은 그래피티의 보편적인 장르인 와일드스타일을 보여준다. 하지만 스트리트 아트가 그것을 덮으며 배반하고 있다. 명확해진 ‘HEZ’ 안에는 여전히 그래피티가 자리하며 ‘근본’, ‘창발’ 그리고 ‘상생’ 의 생태론적 입장에 포지셔닝하고 있다.
문화행위로서 활동하는 그래피티 라이터, 예술작업으로서 고민하는 스트리트 아티스트는 이해관계로 돌아서진 못할 수 있지만, 서로의 행보에 촉각을 곤두세워야함은 분명하다.

Street art is based on graffiti, but it has created a distinct culture which is different from graffiti’s tradition and act. While I was doing works for SUP, urban art project in Seoul, this difference gave me a headache. Like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that don’t go along in any societies, street art and graffiti, as two different ideologies, don’t go along either. I am not only pursues the outcome value of artworks I am involved in, but also respect action of graffiti.
‘SHOW MY NAME’ is a wild style, a common genre of graffiti. However, street art covers the graffiti work and betrays the principles of graffiti. In “HEZ”, graffiti is still strongly placed, and it position to its stance of basis, emergence, and coexistence.
Graffiti writers for the act of sub culture and street artists for artworks might not be understand each other but it is obvious that they need to pay sharp attention to their steps.

IMG_9088photo by Jun Seok

IMG_9109photo by Jun Seok

20121204-IMG_8285_01

My Work Keywords (Day)

spray paint & tape on the wall, 3.2×1.8m, 2012

철공소가 위치한 을지로 골목은 ‘스팀펑크(산업혁명 배경의 SF)’ 를 연상시키는 기운의 특색이 있었다. ‘My Work Keywords (Night)’ 는 즉석의 공간 분석과 함께 몰래 작업 되어졌다.
‘Night’ 버전과는 달리 준비과정부터 현장작업환경, 공기의 냄새까지도 달랐지만 출발점이 같은 개념의 작업이었다. ‘Day’ 버전은 합법적인 스트리트 아트 작업으로서 대낮 햇볕아래 진행되었으며, 하나의 하얀 사각틀에 키워드들이 정리된 일종의 마인드맵이었다.

Images from Steampunk (SF genre set during the Industrial Revolution) came into my mind when I visit Euljiro area with all the machine shops. ‘My Work Keywords (Night)’ was worked analyzing spaces instantly.
The ‘Day’ version was worked regally in the daytime against the ‘Night’ version, and this was a type of mind map. Although the process of preparation, the surroundings when I was working and the smell of atmosphere were different, it was same work in terms of the starting point of the concept.

59_20120918-img6147-2

59_20120919-img6177

59_detail

My Work Keywords (Night)

spray paint & tape on the wall, various size, 2012

철공소들이 자리하고 있는 을지로 구역은 마치 ‘스팀펑크(산업혁명 배경의 SF)’ 의 기운을 내뿜고 있었으며, 근방의 세운상가부터 진양상가로 이어지는 라인은 신식 건물과는 다른 건축 양식으로 특색있는 느낌을 자아내었다. 그 감동은 예술범주를 포함한 나 자체의 성향과 닮아 있었으며, 이러한 느낌들이 기표로서 어떻게 표현될 수 있는지 문자화하였다. 작업이 되어질 벽은 미리 정해두지 않았으며, 즉석의 공간 분석과 함께 나의 작업 핵심어들을 늘어놓았다.

Images from Steampunk (SF genre set during the Industrial Revolution) came into my mind when I saw Euljiro area and all the machine shops. The line that leads from Sewoon Arcade to Jinyang Arcade has a distinct character that can’t be found in new buildings. I felt a sense of recognition and expressed this feeling in texts. I didn’t choose a wall to work on in advance and I arranged my keywords impromptu.

20120901-IMG_5770

20120901-IMG_5781

20120901-IMG_5785

20120908-IMG_5939

20120909-IMG_5994

20120910-IMG_6033

Habitat

single channel video, 1’53”, 2012

먹이감(벽)을 찾으러 두리번 두리번. 스트리트 아트 행적의 ‘느와르 & 로드 무비’

Foraging for a prey(wall)’The noir & road movie’ of street art’s whereabouts

Discard the Machine

mixed media on the wall, 4.7×2.1×1.8m, 2012

“나는 그 기계를 폐기하였다! 그 수트는 나를 아이언맨으로 만들지 않았다.”
‘그 기계’ 는 현대인의 전형적 삶을 대표하는 양복과 넥타이에서 기원한다. 이것은 내가 2년여간 입어왔던 그 삶에 질적 향상이 있었는가의 물음에서 시작되었다. 반복된 일상은 ‘김선우(본명)’ 를 기계화 하였고 ‘그 기계’ 는 아이언맨과 같은 치명적인 무기를 쥐어주지 않았으며, ‘그 수트’ 는 나에게 철갑옷이 되어주지 못하였다. 결국, 속도를 늦추며 반전의 기회를 노리던 ‘헤즈’ 는 그가 자살을 당하는 것에 일조하였다. 이제 나는 오직 하나이다.

“I discarded the Machine! The suit did not make me an iron-man.”
The ‘machine’ comes from a suit and tie, representing the typical life of a modern man. It originated from a question: “Has there been qualitative improvement in the lifestyle I have been ‘wearing’ for the last two years?” Repetitive daily life has turned ‘me’ into a machine whereas this ‘machine’ did not equip me with a fatal weapon (like that of an iron-man), and this ‘suit’ failed to serve as the armor that should protect me. In the end, Hez-who slowed down and waited for a twist of fate-has ended up helping himself to commit suicide. Now, I am the only one.

01_Art_Hez Kim,Photo_Hez Kim

03_Art_Hez Kim,Photo_Hez Kim

28 SEASONS LATER

single channel video, 13’13”, 2012

’28시즌후’ 는 폐허가 된 도시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 도시는 무너져가는 재개발 현장을 소재로 하고 있으며, 이는 스펙터클을 제공한다. 이미 매스컴의 재난현장 보도를 통해 끊임없이 접해져온 이 광경들은 ‘마치 영화같다’ 라며 현실이 비현실로 투영 되어왔다.
촬영장소인 북아현동 재개발 지역은 누구에겐 생존권의 장소이며, 누군가에겐 스펙터클로 보이는 이질감의 현장이다. 이에 비현실의 스펙터클을 대표하는 비디오게임의 메카니즘으로 증강현실 하였으며, 동시에 생존을 위한 힘없는 재개발 시위의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미래도시를 ‘꿈’ 꾸며 서울 각지에 들어설 ‘삐까뻔쩍’한 개발들이 그들에겐 그저 ‘꿈’ 뿐인게 아닐까..

’28 seasons later’ is set in ruined city. This is city has demolishing redevelop zone as subject matter, and this district shows spectacle. The sights, countlessly heard by disaster report of mass communication, seems ‘like a movie,” The reality is comparison to unreality.
A shooting location, Buk A-Hyeon dong redevelopment zone, is a place of survival for someone, and seemingly spectacle sight for someone else. Using a video game representing unrealistic spectacle as a mechanism, and shows the reality of helpless redevelopment protest for the survival at the sametime. With a dream of future city, spectacular developments built in various parts of seoul could only be just their ‘dream’..

Inventory

mixed media on the wall, 2.3×2.3×0.6m, 2012

’28 seasons later’ 영화 내 물품창고로서 등장하는 설치물.
영화속에서 주인공은 자신의 능력치를 증가시키기 위해 아이템을 채집한다.
실제 이 물품들은 촬영지인 북아현동 재개발지역의 빈집에서 모은 버려진 물건들로 구성었다.

An installation as an inventory appeared in the movie, 28 seasons later.
The Hero in this movie collects items to improve his ability.
Indeed, these items consist of abandoned things collected in the empty houses of the filming location of Buk A-Hyeon Dong redevelopment zone.

art_hez_photo_hez

62_20120107-img3169

WRECK

mixed media installation, various size, 2012

언젠가부터, 그래피티를 포함한 드로잉과 페인팅은 나의 시선에서 저편이 되어버렸다.
지하실 한켠에서 먼지를 털어낸 나무판넬위 그래피티는 더이상 그곳에 있을 필요가 없었고, 밖으로 나와 파편이 되어버린 그것엔 전혀 아쉬움이 없었다.

Since when, drawing and painting including graffiti have been disappeared from my sight.
Wood panels I had found in the corner of the basement and dusted off no longer had not needed to be there and I was not sorry about them fragmented outside.

art_hez_photo_hez_01

art_hez_photo_hez_02

recommunity01금강산전 / Mt. Geumgang Exhibition, 2006 @Gallery Artside
artwork with yoyohouse